[1] 경혈명: SI19 청궁 (聽宮) / Tinggong 聽(听,聴)宮(宫)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 − SI(Small Intestine medirian)
별명 : 다소문
효능 : 소장경과 삼초경, 담경의 세 경맥이 만나는 혈로 머리를 맑게 하고 귀를 잘 들리게 하는 효능
근육/신경 : 측두근 / 이개측두신경, 안면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궁(宮)은 중요한 장소이다. 이 혈은 이주(耳珠)의 앞에 있고 여기에 침을 놓으면 청각(聽覺)의 회복에 효과가 있으므로 청궁(聽宮)이라 이름하였다.
이곳에 鍼刺한 後에는 능히 五音을 들을 수 있어 청력회복을 도울 수 있고 또 耳屛前에 있어 귓바퀴 안쪽에 깊이 위치하므로 宮에 비유할 수 있다. 고로 聽宮이라 명했다.
3. 혈의 위치
3.1. 혈위1
얼굴, 귀구슬(tragus) 중심의 앞모서리와 아래턱뼈 관절돌기(condylar process of the mandible) 사이의 오목한 곳.
On the face, in the depression between the anterior border of the center of the tragus and the posterior border of the condylar process of the mandible.
4. 혈의 취혈
4.1. 취혈1
입을 약간 벌릴 때 나타나는 귀구슬 중심의 앞쪽 오목한 곳으로, 耳門(TE21)과 聽會(GB2)의 사이에서 취혈한다.
Note: When the mouth is slightly opened, SI19 is located in the depression anterior to the center of the tragus, between TE21 and GB2.
이주 가장 도드라진 곳 앞, 입을 벌리면 오목하게 들어하는 곳에서 취한다.
4.2. 임상 취혈
5. 침뜸 방법
5.1. 침구법1
- 直刺 0.3~0.5寸
- 斜刺 0.5~1寸 (입을 벌리고 약간 下部로 향하여)
[2] 세부정보
1. 혈성
개규총이
宣耳竅(선이규) 止痛(지통) 益聽(익청) 寧神志(영신지)
2. 주치
중이염, 이명, 외이염, 인두염(인후염+후두염)
3. 특효 사항
4. 특이 사항
5. 관련혈
6. 기타사항
[★] 참고 링크 정보
1. 소속 경락에 대한 정보 링크
https://okepapa.tistory.com/193
[08.경혈검색SI]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 : 각 19혈
[08.경혈검색SI]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 − SI(Small Intestine medirian) : 각 19혈 유주(流注) : 소지외측단 소택(小澤)에서 시작해서 손 외측을 따라 손목에 이르러 예각(銳角)을 지나서 직상하여 전
okepapa.tistory.com
2. [경혈검색] 링크 종합페이지
https://okepapa.tistory.com/180
[경혈검색 종합] 경락별 361개 경혈 검색 링크
361개 이상의 [경혈검색] 페이지 링크를 모아놓은 종합 페이지. 12정경+기경팔맥의 경혈들에 대한 [경혈검색] 링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경혈검색] 종합페이지에 포함된 내용 [01] 임맥(任脈) − CV
okepapa.tistory.com
#. 검색키워드
KACUPOINT_SI019
ACUPOINT_SI019
SI019
아직 완성된 것은 아니고 지속해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내용을 보강해 나갈 계획입니다.
보완이 필요하거나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더 많은 사람이 우리 몸에 있는 중요 건강 정보인 경혈을 많이 활용하기를 바랍니다.
'동양의학 > 경락경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경혈검색KI]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 각 27혈 (0) | 2023.11.21 |
---|---|
[09.경혈검색BL]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 각 67혈 (0) | 2023.11.21 |
[경혈검색] 수태양소장경(SI) > SI18 권료[관료] (顴髎) (1) | 2023.11.20 |
[경혈검색] 수태양소장경(SI) > SI17 천용 (天容) (1) | 2023.11.20 |
[경혈검색] 수태양소장경(SI) > SI16 천창 (天窓) (1) | 2023.1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