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경맥6 [유주06]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SP) : 각 21혈 [06]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 SP(SPleen meridian) : 각 21혈 1. 유주 流注 ① 족태음비경은 엄지발가락 내측단의 은백에서 일어나 ② 엄지발가락 안쪽의 적백육제赤白肉祭를 따라서 ③ 안쪽 복사뼈 전면을 거쳐 상행하여 ④ 다시 정강이뼈[경골] 안쪽으로 따라 올라가 ⑤ 안쪽 복사뼈 위 8촌 되는 지점에서 족궐음간경과 교차하여 족궐음간경의 전면으로 나온 후 정강이뼈 후연을 따라서 흘러 ⑥ 무릎을 지나고 대퇴내측전연을 지나 ⑦ 복부로 들어간다 ⑧ 복부에서 임맥의 중극, 관원, 하완과 교회하여 비脾에 속屬하고 위胃에 낙絡한다 ⑨ 다시 상행하여 복애를 거쳐 족소양담경의 일월에 교회하고 족궐음간경의 기문에서 상회相會한다 ⑩ 횡경막을 지나 흉부에 올라가 식두, 천계, 흉향, 주영을 돌아 주영에서 ..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3. [유주05]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 : 각 45혈 [05]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 ST(STomach meridian) : 각 45혈 1. 유주 流注 ① 족양명위경은 비익鼻翼 양측兩側의 영향에서 기시하여 곳마루를 따라 상행해서 비근부鼻根部에 이르러 ② 좌우 경맥이 교회交會하여 비근부 양쪽에서 족태양방광경의 정명과 교회한 후 ③ 코 가장자리를 따라서 내려와 ④ 윗니와 윗잇몸으로 진입하였다가 ⑤ 되돌아 나와 입술을 휘돌아서 ⑥ 하행하여 아랫입술 밑 오목하게 들어간 곳인 승장에서 좌우 교차한다 ⑦ 계속하여 턱[합頜]을 따라 순행하여 ⑧ 저작근 가장자리 대영으로 나와 협거를 따라 순행하여 ⑨ 귀 앞으로 상행한 후 광대뼈 등과 교회하면서 발제髮際를 따라서 올라 ⑩ 족소양담경의 현리, 함염등과 교회하면서 발제髮際를 따라서 올라 ⑪ 이마각[액각額角]의 두유에 이..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3. [유주04]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LI) : 각 20혈 [04]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 LI(Large Intestine meridian) : 각 20혈 유주(流注) : 둘째 손가락 끝에서 둘째 손가락 엄지 손가락쪽 상연을 따라 제1,2장골 사이(합곡:合谷)를 지나고 팔목 위 모지 뒤 양근간의 움푹 들어간 양계(陽谿)를 지나 팔굼치 외측에 이르러 다시 팔의 외측 전연(前緣)을 따라 어깨로 올라가 견봉(肩峯)의 전연(前緣)을 지나고 제양경(諸陽經)과 만나 다시 하향하여 결분(缺盆)에 들어가 장부에 연락하고, 횡경막(橫膈膜)을 내려가 대장(大腸)에 속한다. 그 지맥(支脈)은 결분(缺盆)에서 경부(頸部)를 지나 협부(頰部)를 통과하고 하치은(下齒 )에 들어간 후 상순(上脣)을 돌아 좌맥(左脈)은 우로 향하고 우맥(右脈)은 좌로 향하여 인중(人中)에서 교차하..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3. [유주03]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LU) : 각 11혈 [03]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 LU (LUng meridian) : 각 11혈 1. 유주 流注 ① 수태음폐경은 중초에 있는 위부 즉 중완[임맥]자리에서 기시하여 하행하여 수분[임맥]에서 폐와 표리관계가 되는 대장에 낙한다. ② 대장에서 다시 돌아와 위구[유문, 분문]를 돌아서 ③ 횡경막을 지나 ④ 폐에 속한다. ⑤ 다시 인후, 기관, 기관지 등을 포괄하는 폐계를 지나 흉부 외상방의 중부에서 족태음비경과 교회하고 운문을 지나 겨드랑이 밑 액와에 이른다. ⑥ 계속하여 상완내측전연의 천부, 협백을 따라 내려가 수소음경과 수궐음경 두 경의 앞쪽을 지나 ⑦ 팔꿈치 안쪽[주중] 척택을 거쳐 하향한다. ⑧ 전완내측 요측연을 따라서 하행하되 공최, 열결을 지나 ⑨ 경거, 손목에 맥 뛰는 자리인 촌구 태연으로 진입..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3. [유주02] 독맥(督脈,GV) : 28혈 [02] 독맥(督脈) − GV(Governor Vessel) : 28혈 1. 유주 流注 ① 주간主幹은 아랫배, 포궁胞宮에서 기시起始하여 회음으로 내려가 임맥과 만난 뒤 ② 꼬리뼈끝 장강을 지나 요유, 양관, 명문, 현추, 척중, 중추, 근축, 지양, 영대, 신도를 경우해서 척추를 따라 올라 넓게 퍼진다. 견갑부 신주에서 좌우로 나뉘었다가 다시 후정중선後正中線 도도에서 합하여 상행하고 대추로 온 후 이곳에서 수족삼양맥과 교회한다. ③ 뒤목의 아문, 풍부에 이르러 뇌로 들어갔다가 뇌호로 나온 후 강간, 후정을 지나 ④ 머리 꼭대기로 올라가 백회에서 족태양과 교회한 후 다시 머리의 정중선을 따라 전행前行하여 전정, 신회, 상성을 지나 전액발제前額髮際인 신정[발제상0.5촌]을 지나 ⑤ 콧날로 하행하여 소료, 수..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3. [유주01] 임맥(任脈,CV) : 24혈 [01] 임맥(任脈) − CV(Conception Vessel) : 24혈 1. 유주 流注 ① 하복부 중극中極 아래에서 기시起始하여 양음지간兩陰之間[1] 인 회음부로 나와 ② 회음부를 경유하여 음모제陰毛際로 상행하여 ③ 전정중선前正中線을 따라 곡골, 중극, 관원, 석문, 기해, 음교, 신궐(배꼽)을 거쳐 ④ 흉부정중선을 따라 수분, 하완, 건리, 중완, 상완, 거궐, 구미, 중정, 전중, 옥당, 자궁, 화개, 선기를 지나 천돌, 염천 간間인 인후부에 이르고 ⑤ 턱을 지나 아랫입술 밑 승장에 이르고 ⑥ 승장에서 수족양명경, 독맥과 교회하고 둘로 나누어져 입술을 돌아 은교에서 독맥과 만나고 다시 갈라져서 ⑦ 안면부를 따라 눈 밑으로 이어져 눈 밑 승읍에서 족양명위경과 만난다 ⑧ 분지는 포중胞中에서 나와 등골..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