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24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은 면역 시스템이 자신의 신체 조직을 외부 침입자로 잘못 인식하고 공격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정상적인 면역 시스템은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 외부 병원체를 인식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하지만, 자가면역질환에서는 이 기능이 오작동하여 신체의 정상적인 세포와 조직을 공격하게 됩니다.자가면역질환의 주요 특징 면역 시스템의 오작동면역 시스템이 자기 자신의 조직을 병원체로 잘못 인식하고 공격합니다. 이는 자가항체(autoantibodies)와 자가반응성 T세포(auto-reactive T cells) 생성으로 나타납니다. 원인유전적 요인: 특정 유전자는 자가면역질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환경적 요인: 감염, 약물, 화학 물질, 식이 요인 등이 자가면역 .. 건강 2024. 6. 19. 류머티즘 관절염(RA) 치료에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약물 류머티즘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 치료에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약물 류머티즘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 치료에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약물은 코르티솔과 유사한 합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입니다. 코르티솔 자체는 자연적으로 부신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이지만,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는 합성된 형태로, 코르티솔의 항염증 및 면역 억제 효과를 모방합니다. 주요 합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프레드니손(Prednisone)류머티즘 관절염을 포함한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스테로이드입니다.체내에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으로 전환되어 작용합니다.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프레드니손과 유사한 작용을 하며, 직접적으로 활성 상태로 사.. 건강 2024. 6. 19. 스테로이드 치료 '스테로이드 치료'라는 용어는 주로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s)를 사용하여 염증, 면역 반응, 알레르기 반응 등을 억제하는 치료법을 의미합니다. 스테로이드 치료는 다양한 질환에서 사용되며, 그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특성 항염증 효과스테로이드는 염증 매개체(사이토카인,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생성을 억제하여 염증 반응을 줄입니다. 이는 류머티즘 관절염, 천식, 염증성 장질환 등 다양한 염증성 질환 치료에 유용합니다. 면역 억제 효과스테로이드는 면역 세포의 활성을 억제하여 자가면역 반응을 감소시킵니다. 이는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자가면역성 간염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에 사용됩니다. 알레르기 반응 억제스테로이드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히스타민 등의 물질 생성을 억제하여 알레르기.. 건강 2024. 6. 18. 추기(樞機 : 지도리, 돌쩌귀, 문틀) ‘추기(樞機)’를 통해서 본 문(門)의 상징성 가톨릭에서 교황 다음의 성직자로 추기경(樞機卿)을 두고 있는데, 이때 쓰이는 추기경의 정확한 말뜻을 알고 있는 이는 드문 것 같다. 교황이나 주교, 신부, 수녀 등의 직책명은 글자 그대로 고개를 끄덕일 수 있는데, 지도리 추(樞)에 기틀 기(機), 벼슬 경(卿)을 쓰는 추기경은 얼른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는 명칭이다. 직책으로야 교황 선출권과 피선거권이 있는 교황 다음의 최고 성직자인줄이야 알지만 ‘가장 중요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카디날(cardinal)을 추기경으로 번역한데는 필시 아주 중요한 뜻을 담고 있을 것이다. 경은 유럽식으로 존칭의 의미로 붙였다지만 ‘추기(樞機)’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동양 사상의 가장 근본을 이루면서도 일반인들에게 편향되게.. 생활/문화 2024. 6. 17. 경외기혈(EX) > EX-G4 제사변 (臍四辨) [1] 혈명: EX-G4 제사변 (臍四辨) 1. 개요 [분류] : 경외기혈(經外奇穴) = 별혈(別穴), Extra points(EX) [기본 설명] : 배꼽 상하좌우 4방으로 1촌 [효능] : 급만성위장염, 위경련, 소화불량, 전간(간질), 설사, 이질, 복통, 부종 2. 혈위 / 취혈 2.1. 혈위 제중 상하좌우 각1촌 2.3. 침뜸 방법 침 : 0.5~0.8촌 뜸 : 7장 [2] 세부정보 1. 혈성 / 주치 1.1. 혈성 건비화위, 고본질경 1.2. 주치 급만성위장염, 위경련, 소화불량, 전간(간질), 설사, 이질, 복통, 부종 관련 링크 정보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4. 1. 31. 경외기혈(EX) > EX-G3 이내정 (裏內庭) [1] 혈명: EX-G3 이내정 (裏內庭) 1. 개요 [분류] : 경외기혈(經外奇穴) = 별혈(別穴), Extra points(EX) [기본 설명] : 내정 밑 반대쪽 [효능] : 식중독, 체했을 때, 급성위통, 소아경풍, 간진, 발가락 통증 2. 혈위 / 취혈 2.1. 혈위 발바닥 둘쨰 발가락과 셋째 발가락 사이로 내정과 상대되는 곳 2.2. 취혈 2.3. 침뜸 방법 침 : 0.3~0.5촌 뜸 : 3장 [2] 세부정보 1. 혈성 / 주치 1.1. 혈성 1.2. 주치 식중독, 체했을 때, 급성위통, 소아경풍, 간진, 발가락 통증 식중독 두드레기 2. 활용 및 특징 2.1. 효능 및 배합 2.2. 특징 및 참고 사항 [지압] : 관련 링크 정보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4. 1. 31. 경외기혈(EX) > EX-G2 췌유 (膵兪) [1] 혈명: EX-G2 췌유 (膵兪) 1. 개요 [분류] : 경외기혈(經外奇穴) = 별혈(別穴), Extra points(EX) [기본 설명] : 제8흉추 극돌기 하 양방 1.5촌 (별명) 팔유, 위관하유 [효능] : 당뇨, 인후건조, 복통 2. 혈위 / 취혈 2.1. 혈위 제8흉추 극돌기 하 양방 1.5촌 2.3. 침뜸 방법 침 : 0.2~0.3촌 뜸 : 5~7장 [2] 세부정보 1. 혈성 / 주치 1.1. 혈성 1.2. 주치 당뇨, 인후건조, 복통, 구역 관련 링크 정보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4. 1. 31. 경외기혈(EX) > EX-G1 둔압 (臀壓) [1] 혈명: EX-G1 둔압 (臀壓) 1. 개요 [분류] : 경외기혈(經外奇穴) = 별혈(別穴), Extra points(EX) [기본 설명] : 구당선생이 요통, 좌골신경통, 하지마비 등 제반 하지질환에 상용 [효능] : 제반 하지질환에 상용 2. 혈위 / 취혈 2.1. 혈위 업드린 자세에서 천골과 미골의 접합부 요유 외방 2촌쯤의 함요처에 근골을 피해서 취한다. ※ 둔부를 눌러서 움푹 들어가는 자리를 찾는다. 2.2. 취혈 요유 외방 2촌쯤. 2.3. 침뜸 방법 침 : 3.5촌 ~4촌 뜸 : 3~5장 [2] 세부정보 1. 혈성 / 주치 1.1. 혈성 익신제채 1.2. 주치 요통, 좌골신경통, 하지마비 등 제반 하지질환(중풍하지마비) 관련 링크 정보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4. 1. 31. 경외기혈(EX) > EX-LE12 기단 (氣端) [1] 혈명: EX-LE12 기단 (氣端) / Qiduan 气端 1. 개요 [분류] : 경외기혈(經外奇穴) = 별혈(別穴), Extra points(EX) [기본 설명] : 기단혈의 기气는 기 중에 원기元气를 의미하고, 단端은 높은 곳 최정상 혹은 전단前端 앞쪽 선두의 의미로 원기가 이 곳에서 부터 시작하여 상운上运한다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효능] : 족지마비, 무좀 치료 2. 혈위 / 취혈 2.1. 혈위 열발가락 끝에 위치하며 발톱에서 0.1寸 떨어진 지점. 2.2. 취혈 발가락 첨단으로 발톱 끝에서 발바닥 쪽으로 0.1촌 기단혈은 10개의 발가락의 끝 부분, 발톱 아래 곡선 주름상의 중간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양발 합쳐 총 10개의 혈자리로 구성 2.3. 침뜸 방법 침 : 0.1~0.2촌 천자,..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4. 1. 31. 경외기혈(EX) > EX-LE11 독음 (獨陰) [1] 혈명: EX-LE11 독음 (獨陰) / Duyin 独阴 1. 개요 [분류] : 경외기혈(經外奇穴) = 별혈(別穴), Extra points(EX) [기본 설명] : 독음혈의 독独은 유일무이한 존재라는 의미이고, 음阴은 음양오행 할때 음으로 중의학에서 음양을 논할때 음은 여성을 뜻합니다. 즉, 양은 없고 음만 있다는 뜻으로 여성질병 치료에 쓰인다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독음혈은 월경불순, 생리통 등의 병증 치료에 취혈되는 혈자리. 2번째 발가락 마디에 위치합니다. [효능] : 심통, 구토와 월경불순, 생리통 등의 여성질병에 주로 사용 2. 혈위 / 취혈 2.1. 혈위 둘째 발가락의 발바닥쪽에서 먼쪽손가락뼈 사이관절(distal interphalangeal joint)의 횡문 중앙. 2.2. 취혈 둘째..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4. 1. 31. 경외기혈(EX) > EX-LE10 팔풍 (八風) [1] 혈명: EX-LE10 팔풍 (八風) / Bafeng 八风 1. 개요 [분류] : 경외기혈(經外奇穴) = 별혈(別穴), Extra points(EX) [기본 설명] : 발등 부분, 제 1 발가락~제 5 발가락 사이사이의 적백육제. 좌우 발 합쳐 총 8개 혈자리 [효능] : 치통, 두통, 위통, 월경불순 등의 치료 2. 혈위 / 취혈 2.1. 혈위 발등부위(dorsal part of foot), 다섯 발허리 발가락관절 사이의 오목한 부위 4개, 좌우 모두 8穴로, 발등과 발바닥의 경계면 2.2. 취혈 발등 쪽 좌우 열 발가락 사이로 발몸뼈 머리 사이에 있는 8개의 혈이다. 팔풍혈은 발등 부분, 제 1발가락에서 제 5발가락 사이사이의 적백육제(인체의 안쪽 흰빛을 띄는 부분과 바깥 쪽의 불그스름한 빛을 ..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4. 1. 31. 경외기혈(EX) > EX-LE9 외과첨 (外踝尖) [1] 혈명: EX-LE9 외과첨 (外踝尖) / Waihuaijian 外踝尖 1. 개요 [분류] : 경외기혈(經外奇穴) = 별혈(別穴), Extra points(EX) [기본 설명] : 발목 근처 복사뼈에 위치한 외과첨혈은 발목 염좌에서부터 위장경련, 소아언어장애 등 여러 병증 치료에 취혈되는 혈자리인데요. 무좀 등의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병증 치료에도 도움이 되는 혈자리 [효능] : 발목 염좌에서부터 위장경련, 소아언어장애 등 치료 2. 혈위 / 취혈 2.1. 혈위 종아리뼈(fibula) 가쪽복사뼈(lateral malleolus)의 가장 융기된 곳. 2.2. 취혈 외과첨혈은 외복사뼈의 최고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흔히들 복숭아뼈라고 하죠. 안쪽은 내과첨혈, 바깥 쪽은 외과첨혈이라고 부른다. 2..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4. 1. 31. 이전 1 2 3 4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