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학/음양오행6 신맛과 간(肝)의 관계 군침 돌게 하는 신맛 신맛의 나는 음식을 먹는 것은 물론이고, 쳐다보기만 해도 보통 입안에 침이 고입니다. 단맛, 쓴맛, 매운맛, 짠맛 등 다른 맛보다 유독 신맛이 입에 침을 돌게 합니다. 이런 작용이 여름철 기운이 빠져 떨어진 식욕을 돋우는 효능이 있습니다. 더불어 체액소모가 심해 건조해진 입안을 촉촉하게 만들어 갈증이 해소되는 느낌을 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새는 것을 막는 신맛의 효능 한의학의 원전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는 '신맛은 수렴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수렴(收斂)시킨다'는 건 몸 속 혈액을 포함한 여러 물질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붙잡아준다는 의미입니다. 고온 다습한 여름에 계속 땀을 흘리면 수분과 함께 몸의 무기질도 빠져나가게 됩니다. 더불어 많은 에너지도 잃게 됩.. 동양의학/음양오행 2023. 10. 27. 오주(五走)와 오재(五裁) 오주(五走) : 달릴주 - 5가지 맛은 각기 오장(五臟) 중 어느 한 장기에 선택적으로 작용한다는 말 - 신맛은 간(肝), 쓴맛은 심(心), 단맛은 비(脾), 매운맛은 폐(肺), 짠맛은 신(腎)에 선택적으로 작용한다는 것. - 5가지 맛은 각기 어느 한 조직에 선택적으로 작용한다는 말. 신맛은 근(筋), 쓴맛은 혈(血), 단맛은 기육(肌肉), 매운맛은 기(氣), 짠맛은 골(骨)에 선택적으로 작용한다는 것 임산부가 신것을 먹고 싶어하는 것은, 간이 허약해서 신것이 땡기는 것이다. 신것을 먹에서 간장혈을 채운다. 오미(五味)는 오장(五臟)에 들어가 기운을 돋군다 ==> 오주(五走) 산(酸)(신맛), 고(苦)(쓴맛), 감(甘)(단맛), 신(辛)(매운맛), 함(鹹)(짠맛)을 오미(五味)라고 한다. 오미는 각각 .. 동양의학/음양오행 2023. 10. 27. 오미(五味) 오미(五味) 5가지 맛. 신맛[산(酸)] · 쓴맛[고(苦)] · 단맛[감(甘)] · 매운맛[신(辛)] · 짠맛[함(鹹)] · 신맛 [산(酸)] - 간 · 쓴맛 [고(苦)] - 심 · 단맛 [감(甘)] - 비 · 매운맛 [신(辛)] - 폐 · 짠맛 [함(鹹)] - 신 (추가 맛) · 담백한맛, 감칠맛 - 심포, 삼초 오미와 오장의 관계 일상의 식생활에서는 오미(五味)의 조화가 중요하다 ㅇ 간(肝)이 약한 사람은 신맛을 찾는다 : 신맛을 지나치게 즐기면 간이 상하고 간이 주관하는 근육이 위축되고 혀가 변형된다. 근(筋)에 이상이 있는 사람은 신맛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안된다. ㅇ 심(心)이 약한 사람은 쓴맛을 찾는다 : 쓴맛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심장과 골이 상하고 피부가 건조해지며 몸의 털이 빠진다. 따라서 .. 동양의학/음양오행 2023. 10. 27. 오행론 오행론 오행의 개념 오행 특성 맛 성질 목 曲直(곡직) 신맛 성장, 昇發작용 화 炎上(염상) 쓴맛 온열, 상승작용 토 稼穡(가색) 단맛 生化, 계승, 수납 금 從革(종혁) 매운맛 청결, 숙강, 수렴 수 潤下(윤하) 짠맛 자윤, 하향성 곡직(曲直) : 굽거나 곧게 된다 염상(炎上) : 사물을 태워서 높은 곳으로 올라가게 한다 가색(稼穡) : 가(稼)는 씨를 뿌리는 것이고, 색(穡)은 거두어 들이는 것. 농사(農事)를 뜻함. 종혁(從革) : 자유롭게 변한다 윤하(潤下) : 사물을 젖게 해서 낮은 데로 흐르게 한다 오행의 생극(상생,상극)와 승모(상승,상모) 구분 설명 예 상생(相生)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상극(相剋) 목극토, 토극수, 수극화, 화극금, 금극목 상승(相乘) 내(목)가 지나.. 동양의학/음양오행 2023. 10. 27. 음양론 음양 음양의 기본 개념 자연계의 모든 사물과 현상은 대립되는 두 개의 측면 또는 상대적인 속성을 가진 두 개의 측면이 있다. 이것은 일반적인 현상으로서 대립되는 또는 상대적인 속성을 가진 양면에 대하여 그 한 측면을 ‘음’이라 불렀고 다른 한 측면을 ‘양’이라 불렀다. 음양은 두개의 서로 대립되는 사물을 대표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사물의 내부에 존재하는 서로 대립되는 양면을 대표하기도 한다. 소문의 “음양응상대론”에서는 “천지는 만물의 상하이고, 음양의 기혈의 음양 속성을 대표하며, 좌우는 음양이 운행되는 통로이고, 수화는 음양의 징조이며, 음양은 만물의 시초라고 한다. 그러므로 음은 안에 있으면서 양의 보호를 받고, 양은 밖에 있으면서 음의 부림을 받는다” 사물의 음양 속성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상대.. 동양의학/음양오행 2023. 10. 27. 음양오행 이란 음양오행 이란 고대 천문관들이 하늘의 해와달(음양), 별들(오행-목화토금수)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데서 시작해, 자연현상 즉 별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균형과 견제의 원리를 인간의 삶에 적용한 것. 하늘의 기운(양)과 따의 기운(음)을 만나면 무엇이 일어나나? → 변화(變化), 변화의 의미? 變 : 양적변화(상호소장) : 물리적 변화 化 : 질적변화(상호전화) : 화학적 변화 동양의학/음양오행 2023. 10.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