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학/경락경혈학

[경혈검색] 족소음신경(KI) > KI1 용천 (湧泉)

오케파파 2023. 11. 27.

[1] 경혈명: KI1 용천 (湧泉) / Yongquan 湧(涌)泉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 KI(Kidney meridian)

별명 : 지충, 궐심, 지위, 지부, 근심

효능 : 막힌것을 소통시키며 정신을 진정시키는 효능

특정혈 역할 : 정목혈

근육/신경 : 충야근, 족장지굴근 / 내측족척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천(泉)은 땅아래에서 솟아나오는 물을 말한다. 여기에서는 발 아래를 가리킨다. 용(湧)은 물이 밑에서부터 분출하는  것을 형용(形容) 한 말이다. 이 혈은 신경(腎經)에 속하고 신(腎)의 정혈(井穴)이다. 이 혈은 발바닥에 사람 인(人)자 모양으로 무늬진 곳의 함요부에 있고 경맥의 기(氣)가 솟아오르는 곳이므로 용천(湧泉)이라 이름하였다. 


湧泉은 足心이다. 즉 穴이 足心의 凹陷處에 위치한다. 이 穴은 足少陰經의 井穴이다. 腎은 水에 속하니 穴이 마치 샘물[泉]이 처음 나오는 것 같아서 냇물이 솟아나[湧] 아래로 흐르는 것 처럼되므로 湧泉이라 한다.

 

 

3. 혈의 위치

3.1. 혈위1

발바닥 부위로서, 발가락을 굽혔을 때, 발바닥의 가장 오목한 곳에 해당됨.

On the sole of the foot, in the deepest depression of the sole when the toes are flexed.

 

4. 혈의 취혈 

4.1. 취혈1 

발가락을 굽혔을 때, 둘째와 셋째 발가락 (the 2nd and 3rd toes) 사이의 발샅 가장자리(web margin)와 발꿈치(heel)를 연결하는 선을 3등분 했을 때, 앞쪽 1/3지점의 오목한 곳에서 취혈한다.
Note: When the toes are flexed, KI1 is located approximately in the depression at the junction of the anterior 1/3 and the posterior 2/3 of the line connecting the heel with the web margin between the bases of the 2nd and 3rd toes.

 

발가락을 뺀 발바닥 길이를 3등분해서 앞 1/3지점 가운데 오목한 곳에 취한다.

 

더보기

4.2. 임상 취혈 

 

 

5. 침뜸 방법 

5.1. 침구법1

- 0.3~0.5寸 直刺

 

 

[2] 세부정보 

1. 혈성

익신조변, 평간식풍, 개규성신, 자산청열

淸腎熱(청신열) 降陰火(강음화) 寧神志(녕신지) 勞厥逆(노궐역)

 

2. 주치

실신증, 심장병, 뇌출혈, 현훈, 하복냉증, 자궁하수, 불임증, 황달, 당뇨병, 족심열, 두통

 

 

더보기

3. 특효 사항

 

 

4. 특이 사항

 

 

5. 관련혈

 

 

6. 기타사항

 

 

 

#. 검색키워드 

KACUPOINT_KI001

ACUPOINT_KI001

KI001

 
👉 [경혈검색] 페이지들은 경혈에 대한 정보를 쉽게 찾아보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입니다.
 아직 완성된 것은 아니고 지속해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내용을 보강해 나갈 계획입니다.
 보완이 필요하거나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더 많은 사람이 우리 몸에 있는 중요 건강 정보인 경혈을 많이 활용하기를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