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학/경락경혈학

[경혈검색] 족소음신경(KI) > KI7 복류[부류] (復溜)

오케파파 2023. 11. 27.

[1] 경혈명: KI7 복류[부류] (復溜) / Fuliu 復(复)溜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 KI(Kidney meridian)

별명 : 창양, 외명, 외유, 복유, 복백

효능 : 신길르 기르로 보충하는 효능

특정혈 역할 : 경금혈

근육/신경 : 장지굴군, 이키레스건 / 경골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복(復)은 돌아오는 것이나 엎드릴 복(伏)과 통하고 류(溜)는 물이 흐르는 모양이며 머물 류(留)와도 뜻이 통한다. 이 혈에서 경맥의 기(氣)는 엎드려 머물며 다시 깊게 흘러들므로 복류(復溜)라고 이름하였다. 


復은 다시 돌아선다는 뜻이다. 本穴은 照海 다음에 위치하고 足少陰이 흐르는 經穴이다. 足少陰脈이 照海에 이르러 海로 돌아가서 모임이 되고, 아울러 흐름을 이루어 陰蹻脈이 되며, 本穴에 이르러 다시 돌아가서 흐르게[溜] 되므로 復溜라 한다.

 

 

3. 혈의 위치

3.1. 혈위1

종아리 뒤 안쪽면, 발꿈치힘줄(calcaneal tendon)의 앞쪽이며, 태계에서 위쪽으로 2寸 부위에 해당됨.
종아리 뒤안쪽면, 발꿈치힘줄(calcaneal tendon) 앞쪽, 안쪽복사 융기(prominence of the medial malleolus)에서 위쪽으로 2寸 부위에 해당됨.
On the posteromedial aspect of the leg, anterior to the calcaneal tendon, 2 B-cun superior to the prominence of the medial malleolus.

 

[경혈검색] 족소음신경(KI) > KI7 복류[부류] (復溜) - [1] 경혈명: KI7 복류[부류] (復溜) / Fuliu 復(复)溜 - 3. 혈의 위치 - 3.1. 혈위1

4. 혈의 취혈 

4.1. 취혈1 

太谿(KI3)에서 음릉천과 연결한 선을 13촌으로 했을 때, 태계 바로 위쪽 2촌 부위이며, 交信(KI8)에서 0.5촌 뒤쪽에 취혈한다.
Note: At the same level and posterior to KI8.

 

태계 위 2촌으로 아킬레스건 앞쪽에서 취한다.

더보기

4.2. 임상 취혈 

 

 

5. 침뜸 방법 

5.1. 침구법1

- 0.3~0.5寸 直刺
- 斜刺 1~1.5寸

 

 

[2] 세부정보 

1. 혈성

보신익음, 통조수도, 이습통림

疏調玄府(소조현부) 利導膀胱(이도방광) 祛濕淸滯(거습청체) 滋腎潤燥祛濕(자신윤조거습)

 

2. 주치

신염(사지부을 떄), 고환염(소변 안나감), 척수염, 복막염, 임질, 신경쇠약, 복창수종(헛배), 도한(잘 때 식은땀), 장뇌명, 치통

 

 

더보기

3. 특효 사항

 

 

4. 특이 사항

 

 

5. 관련혈

 

 

6. 기타사항

 

 

 

#. 검색키워드 

KACUPOINT_KI007

ACUPOINT_KI007

KI007

 
👉 [경혈검색] 페이지들은 경혈에 대한 정보를 쉽게 찾아보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입니다.
 아직 완성된 것은 아니고 지속해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내용을 보강해 나갈 계획입니다.
 보완이 필요하거나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더 많은 사람이 우리 몸에 있는 중요 건강 정보인 경혈을 많이 활용하기를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