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혈명: PC8 노궁 (勞宮) / Laogong 勞(劳,労)宮(宫)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수궐음심포경(手厥陰心包經) − PC(PeriCardium meridian)
별명 : 오리, 장중, 귀로, 귀굴
효능 : 공규를 열고 정신을 이깨우는 효능이 있다
특정혈 역할 : 형하혈
근육/신경 : 총양근/ 수장건망, 총굴근건초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노(勞)는 노동(勞動)을 가리키고 궁(宮)은 황궁(皇宮)을 말한다. 손은 노동을 하는 기관이다. 이 혈은 손바닥에 있고 심포(心包)는 군주(君主)인 심(心)의 궁성(宮城)이므로 노궁(勞宮)이라 이름하였다.
손바닥의 네주위를 八卦로 비유한다면 이 穴은 中宮에 해당한다. 손바닥 중앙의 脈이 뛰는 곳으로 사람이 피곤하면 손바닥 중앙에 熱이 난다. 勞는 動의 뜻이다.이 穴은 心包絡의 滎火穴이며 臣使之官으로서 心을 대행하여 정무를 돌봄에 수고로우므로(勞) 勞宮이라 명하였다.
3. 혈의 위치
3.1. 혈위1
손바닥, 둘째와 셋째 손허리뼈(the 2nd and 3rd metacarpal bone)의 사이, 손허리손가락관절(metacarpophalangeal joint)의 몸 쪽 오목한 곳.
※참고 : 勞宮(PC8)의 부위가 손바닥, 셋째와 넷째 손허리뼈의 사이, 손허리손가락관절의 몸 쪽 오목한 곳이라는 의견도 있다.
On the palm of the hand, in the depression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metacarpal bones, proximal to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s.
Remarks: Alternative location of PC8 – On the palm of the hand, in the depression,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metacarpal bones, proximal to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s.
4. 혈의 취혈
4.1. 취혈1
제2,3 중수골 아이로 주먹 쥐면 중지 끝이 닿는 곳에서 취한다.
4.2. 임상 취혈
5. 침뜸 방법
5.1. 침구법1
- 直刺 0.3~0.5寸 (손바닥에서 손등을 향해 刺入)
- 斜刺 0.5~0.5寸
[2] 세부정보
1. 혈성
제2,3중수골간 충양근에 위치한다.
淸心火(청심화) 除濕熱(제습열) 熄風凉血(식풍량혈) 安神和胃(안신화위) 鎭靜(진정) 開竅回陽(개규회양)
2. 주치
졸도, 내충혈, 구강염, 연하곤란, 뉵혈, 황달, 애역, 중풍이나 정신이상으로 잘 웃느데 효과, 손바닥에 땀이 흥건한 사람(심 문제)
3. 특효 사항
4. 특이 사항
실실웃는 증상(심에 열이 들어가서) ; 심-> '혀' : 말이 많아짐, 헛소리, 실없는 소리
5. 관련혈
6. 기타사항
#. 검색키워드
KACUPOINT_PC008
ACUPOINT_PC008
PC008
아직 완성된 것은 아니고 지속해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내용을 보강해 나갈 계획입니다.
보완이 필요하거나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더 많은 사람이 우리 몸에 있는 중요 건강 정보인 경혈을 많이 활용하기를 바랍니다.
'동양의학 > 경락경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혈검색] 수소양삼초경(TE) > TE1 관충 (關衝) (1) | 2023.11.29 |
---|---|
[경혈검색] 수궐음심포경(PC) > PC9 중충 (中衝) (0) | 2023.11.29 |
[경혈검색] 수궐음심포경(PC) > PC7 대릉 (大陵) (1) | 2023.11.29 |
[경혈검색] 수궐음심포경(PC) > PC6 내관 (內關) (1) | 2023.11.29 |
[경혈검색] 수궐음심포경(PC) > PC5 간사 (間使) (1) | 2023.1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