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학/경락경혈학

[경혈검색] 족소양담경(GB) > GB15 두임읍 (頭臨泣)

오케파파 2023. 12. 1.

[1] 경혈명: GB15 두임읍 (頭臨泣) / Toulinqi 頭(头)臨(临)泣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GB(Gall Bladder meridian)

별명 : 임읍

효능 : 담경과 방광경 및 양유맥이 만나는 혈로서 열을 내리고 풍사를 훝어버리는 효능이 있다

근육/신경 : 전두근 / 전두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이 혈은 동공(瞳孔) 바로 위로 발제(髮際)를 5푼 들어 간 곳에 있고 높은 곳에 있어 아래를 내려다보고 눈물 흐르는 것이나 눈병을 치료하므로 임읍(臨泣)이라 이름하였다. 


膽은 五汗을 맡고 있는데 눈물이 그 첫번째이다. 泣은 눈물인데 소리내자 않는 흐느낌이다. 눈물이 위로부터 아래로 흘러(臨) 머리근육을 통하여 肝에 다다르는데 血이 껄끄럽고 肝이 편안하면(兪) 눈에서 스스로 눈물이 흐르고, 肝膽의 熱이 盛하면 눈이 부시고(羞明)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흐르는 고로 臨泣이라 하였다.

 

 

3. 혈의 위치

3.1. 혈위1

머리, 동공(pupil) 중심에서 수직으로 위쪽, 前髮際(anterior hairline)에서 머리 안쪽으로 0.5寸.

On the head, 0.5 B-cun within the anterior hairline, directly superior to the centre of the pupil.

 

4. 혈의 취혈 

4.1. 취혈1 

정면을 바라볼 때, 동공 중심에서 위 쪽, 神庭(GV24)에서 頭維(ST8)를 연결하는 곡선의 중점에서 취혈한다.

Note: When looking straight ahead, GB15 is superior to the centre of the pupil, at the midpoint of the curved line from GV24 to ST8.

 

눈동자 수직선 위, 전발제 상 0.5촌으로 신정과 두유 중아, 즉 두정중선 옆 2.25촌에서 취한다.

 

더보기

4.2. 임상 취혈 

 

 

5. 침뜸 방법 

5.1. 침구법1

- 直刺 0.2~0.3寸
- 斜刺 0.3~0.5寸 (위를 향하여 沿皮刺)
- 三稜鍼으로 點刺出血

 

 

[2] 세부정보 

1. 혈성

산풍청혈, 명목총이

造血器(조혈기)

 

2. 주치

누액과다(눈물 많이 나옴), 축농증, 결막충혈, 각막염, 두통, 현훈, 중풍

 

 

더보기

3. 특효 사항

 

 

4. 특이 사항

 

 

5. 관련혈

 

 

6. 기타사항

눈치료시 두임읍에서 목창방향으로 자침.

 

 

 

 

#. 검색키워드 

KACUPOINT_GB015

ACUPOINT_GB015

GB015

 
👉 [경혈검색] 페이지들은 경혈에 대한 정보를 쉽게 찾아보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입니다.
 아직 완성된 것은 아니고 지속해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내용을 보강해 나갈 계획입니다.
 보완이 필요하거나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더 많은 사람이 우리 몸에 있는 중요 건강 정보인 경혈을 많이 활용하기를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