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혈명: GB44 족규음 (足竅陰) / Zuqiaoyin 足竅(窍)陰(阴)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GB(Gall Bladder meridian)
별명 : 규음
효능 : 열을 내리고 음기를 길러주는 효능
특정혈 역할 : 정금혈
근육/신경 : 장지굴근 / 족배측지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규(窺)는 구멍을 가리킨다. 간(肝)의 규(窺)는 눈이고, 신(腎)의 규(窺)는 귀, 심(心)의 규(窺)는 혀, 폐(肺)의 규(窺)는 코, 비(脾)의 규(窺)는 입이다. 이 오규(五窺)는 음(陰)에 속한다. 이 혈은 눈병, 이롱(耳聾), 혀의 강직, 코막힘, 기침, 입이 쓴병을 치료하는 등 머리의 두규음(頭窺陰)과 작용이 같고 다리에 있으므로 족규음(足窺陰)이 라 이름하였다.
竅陰穴은 陽이 陰에 사귀는 것으로 足少陽과 足厥陰이 서로 이 구멍(竅)에서 교통한다. 내부로는 肝과 膽이 서로 연계되고, 외부로는 經絡이 서로 관통하고 있어 脈氣의 表裏가 서로 교통하여 陰卵의 關竅로 흘러 가는 고로 竅陰이라 이름하였다.
3. 혈의 위치
3.1. 혈위1
넷째발가락, 끝마디뼈(distal phalanx)의 가쪽, 넷째발톱 가쪽 뿌리각(lateral corner of the toenail)에서 몸 쪽으로 0.1寸.
On the fourth toe, lateral to the distal phalanx, 0.1 F-cun proximal to the lateral corner of the toenail, at the intersection of the vertical line of the lateral side of the nail and the horizontal line of the base of the fourth toenail.
4. 혈의 취혈
4.1. 취혈1
넷째발톱의 가쪽모서리를 지나는 수직선과 발톱뿌리를 지나는 수평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취혈한다.
넷쨰 발가락 외측 조갑근각 옆 0.1촌에서 취한다.
4.2. 임상 취혈
5. 침뜸 방법
5.1. 침구법1
- 直刺 0.1~0.2寸
- 斜刺 0.1~0.2寸
[2] 세부정보
1. 혈성
평간식풍, 총이명목
熄風陽(식풍양) 淸肝膽(청간담) 疏氣火(소기화)
2. 주치
늑막염, 두통, 뇌충혈, 졸도, 다몽, 이롱, 안병, 늑간신경통, 신경쇠약, 천식, 심장비대
3. 특효 사항
4. 특이 사항
5. 관련혈
6. 기타사항
#. 검색키워드
KACUPOINT_GB044
ACUPOINT_GB044
GB044
아직 완성된 것은 아니고 지속해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내용을 보강해 나갈 계획입니다.
보완이 필요하거나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더 많은 사람이 우리 몸에 있는 중요 건강 정보인 경혈을 많이 활용하기를 바랍니다.
'동양의학 > 경락경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이경맥 (十二經脈)의 접속과 순행 (0) | 2023.12.03 |
---|---|
골도분촌법[골도법] (0) | 2023.12.03 |
[경혈검색] 족소양담경(GB) > GB43 협계 (俠谿) (0) | 2023.12.03 |
[경혈검색] 족소양담경(GB) > GB42 지오회 (地五會) (0) | 2023.12.03 |
[경혈검색] 족소양담경(GB) > GB41 족임읍 (足臨泣) (2) | 2023.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