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혈명: LR3 태충 (太衝) / Taichong 太衝(冲)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 LR(LiveR meridian)
별명 : 대충
효능 : 울체된 간기를 소통시켜 낙맥을 소통시키고 혈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
특정혈 역할 : 수토혈, 원혈
근육/신경 : 배측골간근, 무지내전근 / 족배측지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음경맥(陰經脈)의 원혈(原穴)은 태(太)자가 거의 붙었다. 충(衝)은 요충(要衝)을 가리킨다. 이 혈은 혈기(血氣)가 왕성하고 간경(肝經)의 기(氣)가 흘러드는 곳이고 여자의 생리와 관계가 있으므로 태충(太衝)이라 이름하였다.
이 穴은 엄지발가락 本節 뒤로 2寸 되는 凹陷處이다. 肝은 그 근원(原)이 太衝에서 나오므로 이 穴은 肝經의 原穴이다. 太는 크다(大)는 말이고 衝은 길(道)과 통한다
3. 혈의 위치
3.1. 혈위1
발등, 첫째와 둘째 발허리뼈(the 1st and 2nd metatarsal bones) 사이, 두발허리뼈의 바닥 연접부에서 먼 쪽 오목한 곳, 발등동맥(dorsalis pedis artery)이 뛰는 곳.
On the dorsum of the foot, between the 1st and 2nd metatarsal bones, in the depression distal to the junction of the bases of the 2 bones, over the dorsalis pedis artery.
4. 혈의 취혈
4.1. 취혈1
손가락을 行間(LR2)에서부터 첫째와 둘째 발허리뼈 사이로 그 바닥을 향하여 몸 쪽으로 움직일 때 촉지되는 오목한 곳에서 취혈한다.
Note: LR3 can be felt in the depression when moving proximally from LR2 in the gap between the 1st and 2nd metatarsal bones towards the base of the 2 metatarsal bones.
첫째와 둘째 중족골 결합부 앞쪽 오목한 곳에서 취한다.
4.2. 임상 취혈
5. 침뜸 방법
5.1. 침구법1
- 直刺 0.3~0.5寸
- 斜刺 1~1.5寸
- 湧泉(KI1)으로 透刺하기도 함.
[2] 세부정보
1. 혈성
평간식풍, 건비화습
淸熄肝火肝陽(청식간화간양) 疏泄下焦濕熱(소설하초습열) 舒肝理氣(서간리기) 通絡活血(통락활혈)
2. 주치
급만성위장병, 자궁출혈, 장출혈, 간병, 황달, 변비, 두통, 현훈, 경풍, 내장조절작용, 고혈압, 졸도, 뇌출혈
3. 특효 사항
4. 특이 사항
5. 관련혈
6. 기타사항
간의 소설기능이 좋지 않으면, 정서가 우울해지고, 소화가 안되고, 어혈, 부종, 수종이 생긴다.
[검색키워드 ]
KACUPOINT_LR003
ACUPOINT_LR003
LR003
아직 완성된 것은 아니고 지속해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내용을 보강해 나갈 계획입니다.
보완이 필요하거나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더 많은 사람이 우리 몸에 있는 중요 건강 정보인 경혈을 많이 활용하기를 바랍니다.
'동양의학 > 경락경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혈검색] 족궐음간경(LR) > LR5 여구 (蠡溝) (0) | 2023.12.04 |
---|---|
[경혈검색] 족궐음간경(LR) > LR4 중봉 (中封) (0) | 2023.12.04 |
[경혈검색] 족궐음간경(LR) > LR2 행간 (行間) (1) | 2023.12.04 |
[경혈검색] 족궐음간경(LR) > LR1 대돈 (大敦) (1) | 2023.12.04 |
12경맥의 흐름 (0) | 2023.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