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글
최신글-리스트
인기글(스페셜)
-
동양의학 오수혈[오행혈]에 대한 정리 오행혈 (오수혈) 각 정경맥은 오행에 배속되어 있고, 각 경맥에는 오행의 성질을 함유한 5개의 경혈이 있는데, 이것이 본치법의 근간이 되는 오행혈(오유혈, 오수혈, 오정혈)이다. 오행설에 의하면, "오행 중에 오행이 있다."고 한다. 이 의미는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는 완전무결하게 순수하지 않고 다른 물체의 성질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목'을 예로 들면, '목'이 관념적으로는 순수하지만 실제상으로는 '목'성 중에 다른 화, 토, 금, 수의 성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경락의 경우도 간(음), 담(양)경이 '목'에 속하는데, 그 경락 중에도 역시 화, 토, 금, 수의 성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오행 이론을 간경에 적용해 보면, 목경인 간경의 14개 혈 중에서, 목성(목의 성질)은 대돈혈에 가..
-
경락경혈학 골도분촌법[골도법] 경혈의 위치를 탐색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적합한 방법이 골도분촌법이다. 인체의 각 부위의 특정 부분을 N등분하고 1/N등분을 1촌으로 보고 상대값으로 혈위를 찾는 방법이다. 따라서 1촌의 실제 길이는 위치마다 혹은 개인마다 다 다르다. 혈위 탐색을 위한 골도분촌법(골도법)에 대해서 알아 본다. 골도분촌법 뼈마디를 주요한 표지로 삼아 촌수를 정하는 것을 골도법이라 하고, 취혈시 골도법으로 정한 촌수를 비례로 환산하여 혈의 위치를 정하는 것을 등분촌법이라고 한다. 이것을 골도등분촌법이라 하는데, 환자 본인의 몸을 기준으로 한다.
-
경락경혈학 [유주05]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 : 각 45혈 [05]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 ST(STomach meridian) : 각 45혈 1. 유주 流注 ① 족양명위경은 비익鼻翼 양측兩側의 영향에서 기시하여 곳마루를 따라 상행해서 비근부鼻根部에 이르러 ② 좌우 경맥이 교회交會하여 비근부 양쪽에서 족태양방광경의 정명과 교회한 후 ③ 코 가장자리를 따라서 내려와 ④ 윗니와 윗잇몸으로 진입하였다가 ⑤ 되돌아 나와 입술을 휘돌아서 ⑥ 하행하여 아랫입술 밑 오목하게 들어간 곳인 승장에서 좌우 교차한다 ⑦ 계속하여 턱[합頜]을 따라 순행하여 ⑧ 저작근 가장자리 대영으로 나와 협거를 따라 순행하여 ⑨ 귀 앞으로 상행한 후 광대뼈 등과 교회하면서 발제髮際를 따라서 올라 ⑩ 족소양담경의 현리, 함염등과 교회하면서 발제髮際를 따라서 올라 ⑪ 이마각[액각額角]의 두유에 이..
-
음양오행 신맛과 간(肝)의 관계 군침 돌게 하는 신맛 신맛의 나는 음식을 먹는 것은 물론이고, 쳐다보기만 해도 보통 입안에 침이 고입니다. 단맛, 쓴맛, 매운맛, 짠맛 등 다른 맛보다 유독 신맛이 입에 침을 돌게 합니다. 이런 작용이 여름철 기운이 빠져 떨어진 식욕을 돋우는 효능이 있습니다. 더불어 체액소모가 심해 건조해진 입안을 촉촉하게 만들어 갈증이 해소되는 느낌을 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새는 것을 막는 신맛의 효능 한의학의 원전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는 '신맛은 수렴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수렴(收斂)시킨다'는 건 몸 속 혈액을 포함한 여러 물질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붙잡아준다는 의미입니다. 고온 다습한 여름에 계속 땀을 흘리면 수분과 함께 몸의 무기질도 빠져나가게 됩니다. 더불어 많은 에너지도 잃게 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