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혈명: EX-LE9 외과첨 (外踝尖) / Waihuaijian 外踝尖
1. 개요
[분류] : 경외기혈(經外奇穴) = 별혈(別穴), Extra points(EX)
[기본 설명] :
발목 근처 복사뼈에 위치한 외과첨혈은 발목 염좌에서부터 위장경련, 소아언어장애 등
여러 병증 치료에 취혈되는 혈자리인데요.
무좀 등의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병증 치료에도 도움이 되는 혈자리
[효능] :
발목 염좌에서부터 위장경련, 소아언어장애 등 치료
2. 혈위 / 취혈
2.1. 혈위
종아리뼈(fibula) 가쪽복사뼈(lateral malleolus)의 가장 융기된 곳.
2.2. 취혈
외과첨혈은 외복사뼈의 최고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흔히들 복숭아뼈라고 하죠. 안쪽은 내과첨혈, 바깥 쪽은 외과첨혈이라고 부른다.
2.3. 침뜸 방법
침 : 외과첨혈은 보통 0.1~0.2촌 가량의 얕게 자침하지만 보통, 사혈침으로 방혈하여 쓰입니다.
[2] 세부정보
1. 혈성 / 주치
1.1. 혈성
발의 병증 치료
1.2. 주치
외과첨혈은 무좀치료, 발가락 경련 등의 발에 관련된 병증 치료에 쓰이고,
발목이 안쪽으로 접질렸을땐 내과첨혈을 바깥 쪽으로 접질렸을땐 외과첨혈을 취혈합니다.
또한, 치통, 위장경련, 인후종통, 소아중설(혀가 우둔하여 말을 잘 못하는 증상), 편도선염 등의 치료에도 취혈
2. 활용 및 특징
2.1. 효능 및 배합
외과첨혈, 내과첨혈과 함께 바람을 만나면 이가 시리고 아픈 치통 치료에 취혈합니다.
외과첨혈, 절골혈, 양릉천혈과 함께 발목이 바깥 쪽으로 접질렸을 때 취혈하여 사용합니다.
외과첨혈, 후계혈, 신맥혈, 곤륜혈과 함께 발목관절의 무리한 사용으로 인한 인대손상 치료에 쓰입니다.
외과첨혈, 내과첨혈, 태충혈과 함께 편도선염 치료에 사용됩니다.
2.2. 특징 및 참고 사항
[지압] :
관련 링크 정보
'동양의학 > 경락경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외기혈(EX) > EX-LE11 독음 (獨陰) (0) | 2024.01.31 |
---|---|
경외기혈(EX) > EX-LE10 팔풍 (八風) (0) | 2024.01.31 |
경외기혈(EX) > EX-LE8 내과첨 (內踝尖) (0) | 2024.01.31 |
경외기혈(EX) > EX-LE7 난미 (闌尾) (0) | 2024.01.31 |
경외기혈 > 머리, 목 부위 (1) | 2024.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