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학

干支(간지)=天干(천간)+ 地支(지지)

오케파파 2023. 10. 27.

우리나라는 옛부터 간지에 의한 연도표기를 해왔습니다. 수많은 역사사건들도 무오년,갑자년등의 간지식 년도로 나타나듯이 간지는 우리의 선조들의 생활에 깊숙히 자리잡아 왔습니다. 현재는 달력속에 이따금 나타나는 정도이지만 아직도 간지법에 의한 연도표기는 무시할 수 없을 만큼 오래된 전통이기 때문에 간지에 대한 표기법,적용법 등을 소개합니다.

 

간지 일람표

 

 

 

*천간(天干) :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 (10개)

*지지(地支) : 자(쥐), 축(소), 인(호랑이),  묘(토기), 진(용), 사(뱀), 오(말), 미(양),

                    신(원숭이), 유(닭), 술(개), 해(돼지) - (12개)

 

간지에 대한 기본 지식

 

  干支(간지) 표기는 天干(천간)이 먼저이고 地支(지지)가 나중입니다. 甲子(갑자), 乙丑(을축)' 등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조합을 하면 60개가 되고, 이를 '六十甲子(육십갑자)'라고 합니다.자신의 출생 간지가 60년 후에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還甲(환갑-甲子가 돌아옴)'이라 하는데 환갑은 만나이로 60세 생일날입니다.

우리는 天干과 地支의 순서와 갯수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간지적용법

 

  간지표기에서 앞부분의 天干(천간)은 10개입니다. 곧 10년 단위로 항상 같은 것이 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天干(천간)의 첫 번째 甲(갑)은 서기 연도의 끝자리가 항상 '4'가 됩니다. 그러면 乙은 5, 丙은 6, 丁은 7, 戊는 8, 己는 9, 庚은 0, 辛은 1, 壬은 2, 癸는 3이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올해 1998년은 끝자리가 8이라서 간지표기 앞부분 천간은 戊(무)가 되는 것을 바로 알 수 있고 또한 10년 단위로 과거(1988년.1978년..), 미래(2008년.2018년..)가 모두 간지표기 앞부분의 천간은 '戊(무)'가 되겠지요. 

干支의 표기는 天干(천간)이 앞부분이고 地支(지지)가 뒷부분으로 표기되며, 地支(지지)는 곧 각각의 동물형상인 '띠'를 의미함으로 자신의 띠를 중심으로 생각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실례1). 자신의 출생년의 干支(간지) 표기 알기

자신이 1965년에 태어난 경우에 간지년도 표기는?

1965년의 끝자리 5는 天干의 '乙'이 되고, 뒷자리 地支는 저의 띠가 뱀띠이기 때문에 '巳'가 되어 1965년의 간지는 '乙巳年'이 됩니다.

 

 실례2). 올해의 干支(간지) 알아 보기

올해는 2000년, 끝자리 0은 天干의 '庚(경)'이고, 설사 올해의 띠를 잘 모르더라도 자신의 띠를 활용 하면 됩니다. 같은 띠는 12년마다 오지요. 저의 돼지띠는 1971년, 1983년, 1995년 …입니다. 1995년의 5년 후가 올해(2000년), 그럼 산수 계산으로 地支는 '辰', 올해는 '庚辰年'입니다.

 

 실례3). 나이로 干支(간지) 알아 보기

예) 아무개 아버님의 연세가 50세라고 할 때 간지년도는 무엇일까?

50세의 나이가 만나이라면 1948년생이고, 우리나라 나이면 1949년생입니다. 1948년생이면 天干은 서기년도 끝자리 8의 '戊'가 되고, 地支는 자신의 띠(저는 65년 뱀띠)에서 동일한 띠인 12,24,36..을 더하거나 빼보면 근접한 때가 나옵니다. (65-24=41). 곧 41년이 뱀띠(지지의 巳)면 48년은 巳 다음 7번째의 '子'가 됩니다. 결국 1948년생의 간지는'茂子年'이고 1949년생이면 '戊'의 다음 '己' 천간과 '子'의 다음 '丑'으로 '己丑年'입니다.

 

 실례4). 干支(간지)로 나이 알아 보기

예) 친구 아버님의 연세가 몇이신지 잘 모르고 '乙亥年(을해년)'生이라고 할 때 연세는?

'乙卯年'은 서기년도 끝자리가 5입니다. 곧 근래 1995년 1985년 1975년 1965년 1955년 1945년 1935년 1925년… 이 되겠죠. 저의 친구 아버님이라고 했으니까 1945년 이하겠죠. 60년마다 환갑의 개념으로 올해(1998년)가 무인년(戊寅年)이면 1938년도 戊寅年입니다. 그러면 乙의 3년 뒤가 戊이고 또한 올해가 '寅(범띠)'이라면 '亥(돼지띠)'는 3년 전입니다. 그렇다면 바로 1935년이 乙亥年이 됩니다. 확인해 보는 방법은 1935년생이시라면 1995년에 환갑잔치를 하셨고 올해 연세가 만63세면 정확한 것입니다.

 

 실례5). 간지로 표기된 역사 속의 사건 연도 알기

예) 우리나라 구한말의 역사속 사건들 중에 '壬午軍亂(임오군란)', '甲申政變(갑신정변)', '甲午更張(갑오경장)'은 서기 연도로 몇 년 일까?

壬午軍亂(임오군란)은 1882년이고[아래 참고], 甲申政變(갑신정변)은 천간 甲(갑)은 서기년도 끝자리 4이고 구한말의 사건이므로 1864년이 甲子年이라면 地支의 申은 4년전, 곧 1860년의 地支가 申이 됩니다. 그렇다면 서기년도 끝자리 4와 地支의 申이 일치하는 1860년의 24년 뒤인 1884년이 '甲申年'이 되겠지요. 또한 甲午更張(갑오경장)은 당연하게 갑신년의 10년 뒤가 되겠지요.(申에서 10을 더하면 午) 1894년입니다.

 

 

간지연대표

 

관련 포스트

https://okepapa.com/?p=5150

 

운기(運氣)와 간지(干支) : 오운육기와 10천간 12지지 - 오케파파(OKePaPa)의 세상

운기(運氣)란 오운(五運)과 육기(六氣)를 말하고, 간지(干支)란 10 천간(天干)과 12 지지(地支)를 말한다. 오행(五行)이 하늘에서 작용할 때는 '오운'이라 하고, 땅에서 작용할 때는 '육기'라 한다. 10

okepapa.com

 

'동양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수혈[오행혈]에 대한 정리  (1) 2023.12.03
뜸이란 무엇인가?  (3) 2023.11.21
자연계와 인체의 오행분류  (2) 2023.10.27
동양의학 분야  (0) 2023.10.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