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학402 [경혈검색] 임맥 (CV) > CV24 승장 (承漿) [1] 경혈명 : CV24 승장 (承漿) / Chengjiang 承漿(浆)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임맥[任脈] – CV(Conception Vessel) 별명 : 현장, 귀시, 천지, 중장 효능 : 임맥, 독맥, 수양명대장경 및 족양명위경이 만나며 열을 내리고 풍사를 흩어버리며 공규를 열고 정신을 일깨우는 효능 근육/신경 : 구륜근, 이근, 하순하형근 / 하악신경, 이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승(承)은 받는다는 것을 가리킨다. 장(漿)은 침이나 미음을 가리킨다. 침이 흘러나왔을 때 받는 곳이므로 승장(承漿)이라 이름하였다. 腎水가 독맥을 따라 정수리로 올라갔다가 甘露水가 되어 上池에 떨어지고 임맥은 위로 얼굴을 영화롭게 하니 상하 牙齒가 서로 통하기 때문이다. 牙는 酸汁을 만들어 내어 ..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6. [경혈검색] 임맥 (CV) > CV23 염천 (廉泉) [1] 경혈명 : CV23 염천 (廉泉) / Lianquan 廉泉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임맥[任脈] – CV(Conception Vessel) 효능 : 임맥과 음유맥이 만나는 혈로서 열을 내리고 담을없애며 인후와 흉격을 잘 소통시키는 효과 근육/신경 : 설골상근 / 경피신경, 설인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혀를 염(廉)이라고 하며 또한 뾰족한 모서리를 가리킨다. 천(泉)은 수액(水液)을 가리킨다. 이 혈은 후두융기(喉頭隆起) 위에 있고 이 후두융기가 뾰족한 뿔을 닮았으며 안쪽은 혀아래이고 혀 부위의 질환을 치료하므로 염천(廉泉)이라 이름하였다. 3. 혈의 위치 3.1. 혈위1 목 앞부위, 앞정중선(anterior median line) 위, 방패연골(thyroid cartilage) 위..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6. [경혈검색] 임맥 (CV) > CV22 천돌 (天突) [1] 경혈명 : CV22 천돌 (天突) / Tiantu 天突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임맥[任脈] – CV(Conception Vessel) 별명 : 천구, 옥호 효능 : 폐기를 선통하고 담과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이 있다. 근육/신경 : 흉쇄유돌근 / 쇄골상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천(天)은 높은 위치를 말하는데 여기에서는 상부(上部)을 가리킨다. 돌(突)은 돌출(突出), 돌기(突起)인데 여기에서는 후두융기(喉頭隆起)를 뜻한다. 이 혈은 후두융기(喉頭隆起) 아래 2촌(寸)에 있고 후두(喉頭)질환, 기침을 멈추게 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천돌(天突)이라 이름하였다. 3. 혈의 위치 3.1. 혈위1 목앞부위, 앞정중선(anterior median line) 위, 목아래패임(supraster..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6. [경혈검색] 임맥 (CV) > CV21 선기 (璇璣) [1] 경혈명 : CV21 선기 (璇璣) / Xuanji 璇璣(玑)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임맥[任脈] – CV(Conception Vessel) 효능 : 가슴의 맺힌 기운을 풀어주고 폐기를 잘 통하게 하며 기침과 천식을 가라앉히는 효능 근육/신경 : 대흉근 / 늑간 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선기(璇璣)는 북두칠성의 첫째 별부터 넷째 별까지를 통틀어 말한다. 옛사람은 천(天)은 자루가 달린 기구를 닮아 기(機)라고 하며 천(天)은 북두칠성을 중심으로 하고 사람은 심(心)을 중심으로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 혈은 마치 하늘의 북두칠성과 같아 선기(璇璣)라고 이름하였다. 이 穴은 天突 아래 1寸 부위로 가운데가 들어간 부분이다. 아래로 紫宮과 임하고 天의 위치에 거하며 天象과 응할 뿐 아..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6. [경혈검색] 임맥 (CV) > CV20 화개 (華蓋) [1] 경혈명 : CV20 화개 (華蓋) / Huagai 華(华)蓋(盖)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임맥[任脈] – CV(Conception Vessel) 효능 : 가슴에 맺힌 기운을 풀고 중격을 통하게 하여 기침과 천식을 그치게 하는 효능이 있다. 근육/신경 : 대흉근 / 늑간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폐(肺)는 오장(五臟)의 화개(華蓋)이다. 화개(華蓋)는 옛날 천자(天子),제왕(帝王)이 외출할 때에 차(車)에 씌운 덮개를 가리킨다. 심(心)은 군주(君主)의 관(官)이고 흉중(胸中)에 있다. 폐엽(肺葉)은 둥근 덮개 처럼 그 위를 덮고 있고 폐(肺)의 질환을 치료하므로 화개(華蓋)라고 이름하였다. 이 穴은 璇璣 아래 1寸 함요처이다. 폐의 질병을 主하는데 폐는 臟이되어 오장의 華蓋가 된다..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6. [경혈검색] 임맥 (CV) > CV19 자궁 (紫宮) [1] 경혈명 : CV19 자궁 (紫宮) / Zigong 紫宮(宫) 1. 소속 경락 / 혈명 / 효능 소속경락 : 임맥[任脈] – CV(Conception Vessel) 효능 : 가슴에 맺힌 기운을 풀어주고 기침과 천식을 그치게 하는 효능 근육/신경 : 대흉근 / 늑간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자(紫)는 적색(赤色)이고 궁(宮)은 중앙(中央)이다. 임맥은 여기에 이르러 속은 심(心)과 만나고 심(心)은 혈맥(血脈)을 주관하고 색은 적색(赤色)이므로 자궁(紫宮)이라 이름하였다. 자궁은 天에 있어서 황제의 앉는 자리가 된다. 紫는 적색이 되고 중앙은 宮이 된다. 자궁은 실제로 군주를 지칭한다. 임맥을 살펴보건데 정말 안으로 심과 합하여 血의 主宰가 되는 穴이 이 곳이므로 紫宮이라고 하였다. 3...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6. [경혈검색] 임맥 (CV) > CV18 옥당 (玉堂) [1] 경혈명 : CV18 옥당 (玉堂) / CV18: Yutang 玉堂 1. 소속 경락 / 혈명 / 효능 소속경락 : 임맥[任脈] – CV(Conception Vessel) 별명 : 옥영 효능 : 감슴에 맺힌 기운을 풀어주고 기침과 천식을 그치게 하는 효능 근육/신경 : 대흉근 /늑간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당(堂)은 높고 큰 건축물이나 주택이다. 옥(玉)은 백옥(白屋)의 집을 가리킨다. 심(心)이 거처하는 고귀(高貴)한 곳임을 가리킨다. 폐(肺)의 색은 백색(白色)으로 이 혈은 폐질환(肺疾患)인 흉부팽만(胸部膨滿), 옆으로 눕지 못하고 숨이 차는 것을 치료하므로 옥당(玉堂)이라 이름하였다. 玉堂에 心의 德이 다섯가지가 있다. 溫仁, 中義, 通理, 達志, 信이 그 가운데 있다. 그 은혜가..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6. [경혈검색] 임맥 (CV) > CV17 전중[단중] (膻中) [1] 경혈명 : CV17 전중[단중] (膻中) / Danzhong 膻中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임맥[任脈] – CV(Conception Vessel) 별명 : 상기해 효능 : 임맥과 비경, 신경, 소장경 및 삼초경이 만난는 곳이다. 통증을 그치게 하고 진액을 생성하는 효능이 있다. 특정혈 역할 : 심포경의 모혈, 팔회혈중 기회 근육/신경 : 대흉근 / 늑간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전(膻)은 심(心)의 궁성(宮城)을 가리키고 외측(外側) 주위의 조직이다. 중(中)은 내외(內外)로 상대하는 것을 가리키고 흉막(胸膜)의 가운데 이므로 전중(膻中)이라 이름하였다. 가슴의 兩乳間을 膻이라고 한다. 이 穴은 兩乳間의 움푹들어간 부위에 있으므로 膻中이라고 하였다. 膻中은 心主臣使之官이 되어 心包에..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6. [경혈검색] 임맥 (CV) > CV16 중정 (中庭) [1] 경혈명 : CV16 중정 (中庭) / Zhongting 中庭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임맥[任脈] – CV(Conception Vessel) 효능 : 답다반 가슴을 풀어주고 역기를 내려서 구토를 그치게 하는 효능 근육/신경 : 대흉근, 늑간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흉골검결합(胸骨劍結合)의 중앙에 제5늑간극(肋間隙)과 같은 높이에 있다. 중정(中庭)은 궁전(宮殿) 앞 광장을 가리킨다. 이 혈은 흉골검결합(胸骨劍結合)부에서 전중(膻中)의 아래 속에 군주(君主)인 심장(心臟)이 있으므로 중정(中庭)이라 이름하였다. 中庭은 膻中아래 1寸 6分 되는 함요처에 있으며 심장의 부위에 있어서 心이 가운데 존귀하게 居함이 마치 가운데[中]의 殿庭에 이르는 것 같으므로 中庭이라고 하였다. 3. 혈의..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6. [경혈검색] 임맥 (CV) > CV15 구미 (鳩尾) [1] 경혈명 : CV15 구미 (鳩尾) / Jiuwei 鳩(鸠)尾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임맥[任脈] – CV(Conception Vessel) 효능 : 답답한 가습을 풀어주고 역기를 내려서 구토를 구치게 하는 효능이 있다. 특정혈 역할 : 임맥의 낙혈 근육/신경 : 복직근 / 흉과신경전피지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구(鳩)는 비둘기를 가리킨다. 흉골검상돌기(胸骨劍狀突起)는 비둘기 꼬리와 닮았으므로 그 아래에 있는 이 혈을 구미(鳩尾)라고 이름하였다. 이 穴은 가슴의 앞쪽 蔽骨 아래 5分되는 곳이다. 蔽骨은 蔽心骨 또는 鳩尾골이라고도 한다. 즉 그 뼈의 내리 뻗은 형상이 비둘기[鳩]의 꼬리와 같은 형상이므로 鳩尾라고 하였다. *. 폐골(蔽骨) : 흉골의 검상돌기(劍狀突起) ○ 일명 갈한(𩩲..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5. [경혈검색] 임맥 (CV) > CV14 거궐 (巨闕) [1] 경혈명 : CV14 거궐 (巨闕) / Juque 巨闕(阙)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임맥[任脈] – CV(Conception Vessel) 별명 : 심모 효능 : 정신을 안정시켜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막힌 가슴을 풀어 통증을 멈추게 하는 효능 특정혈 역할 : 심경의 모혈 근육/신경 : 복직근 / 흉곽신경전피지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이 혈은 심(心)에 속하는 모혈(募穴)이다. 거(巨)는 크다. 궐(闕)은 중요하다는 뜻으로 여기를 통과해 위로 심부(心部)에 다다를 수 있으므로 거궐(巨闕)이라 이름하였다. 이 穴은 鳩尾아래 1寸에 위치한다. 巨는 크다는 뜻이며 闕은 帝王의 宮庭이라는 뜻이다. 이 穴은 心의 募穴이 되어 經氣가 결취되는 곳이다. 心은 君主之官이므로 이 穴은 心君이 거하는 지..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5. [경혈검색] 임맥 (CV) > CV13 상완 (上脘) [1] 경혈명 : CV13 상완 (上脘) / Shangwan 上脘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임맥[任脈] – CV(Conception Vessel) 별명 : 위완, 상관 효능 : 임맥, 위경 및 소장경이 만나는 혈로서 중초를 조화롭게 하겨 역기를 내리며, 열을 내리고 담을 없애는 효능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완(脘)은 관(管)과 뜻이 통하고, 원래의 뜻은 내강(內腔) 이므로 위강(胃腔)을 가리킨다. 이 혈은 위(胃)의 상부(上部), 즉 분문(噴門) 부위에 있으므로 상완(上脘)이라 이름하였다. 3. 혈의 위치 3.1. 혈위1 윗배, 앞정중선(anterior median line) 위, 배꼽(umbilicus) 중심에서 위쪽으로 5寸. On the upper abdomen, 5 B-cun supe..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1. 5.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