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24 경외기혈(EX) > EX-LE8 내과첨 (內踝尖) [1] 혈명: EX-LE8 내과첨 (內踝尖) / Neihuaijian 内踝尖 1. 개요 [분류] : 경외기혈(經外奇穴) = 별혈(別穴), Extra points(EX) [기본 설명] : 발목 복사뼈의 안쪽은 내과첨혈 바깥 쪽은 외과첨혈. 내과첨혈의 내과内踝는 복사뼈 관절의 안쪽 볼록하게 솟은 곳을 의미하고, 첨尖은 뾰족한 무엇. 즉, 혈자리가 존재하는 곳의 모양을 따 이름 지어졌습니다. [효능] : 찾기도 쉽고, 쉽게 다리가 접질리시는 분들에게 좋은 혈자리 2. 혈위 / 취혈 2.1. 혈위 정강뼈(tibia) 안쪽복사뼈(medial malleolus)의 가장 융기된 곳. 2.2. 취혈 내과첨혈은 내복사뼈의 최고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2.3. 침뜸 방법 침 : 點刺出血 뜸 : 뜸과 지압의 효과가 좋은 혈자..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4. 1. 31. 경외기혈(EX) > EX-LE7 난미 (闌尾) [1] 혈명: EX-LE7 난미 (闌尾) / Lanwei 阑尾 1. 개요 [분류] : 경외기혈(經外奇穴) = 별혈(別穴), Extra points(EX) [기본 설명] : 난미阑尾는 충수를 일컫는 중국어로 충수혈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급,만성맹장염 및 장염 치료에 쓰이는 혈자리인데요. 하지마비 등의 다리 통증 치료에도 자주 쓰이는 자리 [효능] : 급만성충수염, 소화불량 2. 혈위 / 취혈 2.1. 혈위 종아리의 앞 가쪽, 足三里(ST36)와 上巨虛(ST37) 사이의 壓通點으로, 足三里 아래 1.5~2寸 지점. 2.2. 취혈 족삼리의 직하방 2촌. 앉은 자세에서 발목에 힘을 빼거나, 또는 바로 누워 무릎을 굽힌 자세에서 足三里와 上巨虛 사이의 壓通點을 취혈한다. 난미혈은 아랫다리의 외측 상단, 독비혈(..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4. 1. 31. 경외기혈 > 등, 허리 부위 정천 定喘, Dingchuan, EX-B1 취혈 : 대추 양옆 0.5촌 침 : 05.~0.8촌 뜸 : 3~5장 혈성 : 지해정천, 선통폐기 주치 : 해수, 천식, 낙침, 상지마비와 통증, 두드러기 협척 夹脊, Jiaji, EX-B2 취혈 : 제1흉추 극돌기로부터 제 5추 극돌기까지 매 극돌기 하함중 옆으로ㅓ 0.5촌(--> 화타 협척혈). 현재는 경추에서 천추의 양옆 0.5촌까지를 포함한다. 침 : 0.5~1촌 (직자, 다 넣어도 됨) 뜸 : 3장~7장 혈성 : 조화오장, 통강부기 주치 : 척추 각 부위의 관절병증 및 각 장부의 질병, 허리 아플때 위완하수 胃脘下俞, Weiwanxiashu, EX-B3 취혈 : 등 부분(back region), 여덟째등뼈 가시돌기 아래에서 가쪽 1.5寸. 침 : 斜刺 0.. 카테고리 없음 2024. 1. 30. 경외기혈 > 머리, 목 부위 사신총 四神聪, Sishenchong, EX-HN1 취혈 : 백회의 전후좌우 각각 1촌 / 머리 정수리 부분, 백회혈을 가운데 두고 전후좌우 각 1촌 떨어진 곳, 총 4개 침 : 01~0.2촌 뜸 : 3~7장 혈성 : 영심안신, 명목초이 주치 : 중풍, 반신불수, 두통, 편두통, 현훈, 우울증, 발광, 간질, 실면, 건망증, 오래된 뇌질환 당양 当阳, Dangyang, EX-HN2 취혈 : 머리의 앞쪽, 동공의 직상 방향으로 올라가 앞 머리카락 시작점 위로 1촌 떨어진 곳. 침 : 뜸 : 혈성 : 주치 : 인당 印堂, Yintang, EX-HN3 취혈 : 두 눈썹머리 연결선의 중간점 / 이마 부분, 양 눈썹머리 사이의 중간점 침 : 0.3~0.5촌(위에서 아래로 사자) 뜸 : 금구 혈성 : 진경청신, 명..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4. 1. 30. [경혈검색] 족궐음간경(LR) > LR14 기문 (期門) [1] 경혈명: LR14 기문 (期門) / Qimen 期門(门)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 LR(LiveR meridian) 별명 : 복기문, 간모 효능 : 간경과 비경과 음유맥이 만나는 혈로서 각과 비를 소통하는 조절하여 기의 운행을 다스리고 헬을 잘 돌게 하는 효능 특정혈 역할 : 간경의 모혈 근육/신경 : 내외복사근 / 늑간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기(期)는 일주(一周)한다. 문(門)은 양쪽으로 열린 문을 닮은 혈의 위치를 가리킨다. 인체의 기혈(氣血)은 폐경(肺經)의 중부(中府)혈에서 시작하여 12경맥(經脈)을 돌아 기문(期門)혈에서 끝난다. 이 혈은 12경(經), 361혈(穴)의 종점으로 기혈(氣血)이 일주(一周)하였으므로 기문(期門)이라 이름하였다. 期..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5. [경혈검색] 족궐음간경(LR) > LR13 장문 (章門) [1] 경혈명: LR13 장문 (章門) / Zhangmen 章門(门)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 LR(LiveR meridian) 별명 : 장평, 협료, 장수, 방료, 주첨, 후장문, 계늑, 계협, 비모, 장회 효능 : 간과 비를 소통하고 조절하여 열을 내리고 습을 내보내며 혈을 소통시켜 어혈을 업애는 효능 특정혈 역할 : 비경의 모혈, 팔회혈 중 장회 근육/신경 : 내외복사근 / 늑간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장(章)은 밝은 것을 뜻한다. 이 혈은 간경(肝經)에 속하며 간(肝)은 푸른색, 봄이다. 좌우 옆구리로 나뉘어 문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으므로 장문(章門)이라 이름하였다. 이 穴은 大橫(횡경막?)處인 季脇(계협: 측흉(側胸) 제11, 12연골 사이의 부위를 ..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5. [경혈검색] 족궐음간경(LR) > LR12 급맥 (急脈) [1] 경혈명: LR12 급맥 (急脈) / Jimai 急脈(脉)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 LR(LiveR meridian) 효능 : 간기를 조절하여 통증을 기치게 하며 기의 운행을 다스리는 산기를 풀어주는 효능 근육/신경 : 치골근, 장골근 / 대퇴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대퇴동맥(大腿動脈)이 손으로 만져지는 부위로 급하게 맥이 뛰는 듯하여 급맥(急脈)이라 이름하였다. 衝動적인 것을 急이라 한다. 이 穴은 陰部 양방의 動脈處이다. 注에 肝經에는 急脈이 있는데 陰毛의 위에 있고 小腹아래로 行하며 陰丸을 당기고 추우면 통증이 있어 그 脈이 매우 급한고로 急脈이라 하였다. 이 穴이 있는 곳에 動脈이 있어 衝動이 매우 급한고로 急脈이라 이름 하였다. 3. 혈의 위치 3..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5. [경혈검색] 족궐음간경(LR) > LR11 음렴 (陰廉) [1] 경혈명: LR11 음렴 (陰廉) / Yinlian 陰(阴)廉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 LR(LiveR meridian) 효능 : 생리를 조절하고 아이를 갖게하며 근장된 근을 부드럽게 하고 낙맥을 소통시키는 효능 근육/신경 : 장내전근 / 폐쇄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곡골(曲骨)혈에서 양쪽 2촌(寸)에 바로 아래에 2촌(寸)되는 곳에 있는데 대퇴(大腿)의 안쪽은 음(陰)이라 하고 가장자리를 염(廉)이라 하므로 음기(陰器)의 옆에 있는 혈이라하여 음염(陰廉)이라 이름하였다. 이 穴은 羊矢의 아래에 있고 氣衝에서 2寸되는 動脈中이다. 羊矢라는 것은 陰部 양방 넓적다리 안쪽의 紋縫中으로 피부와 근육간에 씨와 같은 것이 羊의 똥과 같음을 이른 것이다. 측면에 가까..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5. [경혈검색] 족궐음간경(LR) > LR10 족오리 (足五里) [1] 경혈명: LR10 족오리 (足五里) / Zuwuli 足五里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 LR(LiveR meridian) 별명 : 오리 효능 : 하초를 소통시켜 조절하며 기의 운행을 다스리고 혈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 근육/신경 : 장내전근, 복근, 봉곤근 / 폐쇄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곡골(曲骨)혈 양쪽 2촌(寸)에서 바로 아래로 3촌(寸), 기문(箕門)혈에서 위로 약 5촌(寸)이므로 오리(五里)라고 이름하였다. 이 穴은 陰廉穴 아래로 氣衝穴에서 3寸 떨어진 곳이다. 里는 居로 풀이된다. 이 穴은 足厥陰肝經이 끝나기 전 다섯번째의 穴位로써 역시 五臟의 里道라고도 일컬어지므로 足五里라고 이름 하였다. 3. 혈의 위치 3.1. 혈위1 넓적다리 안쪽면, 氣衝(S..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5. [경혈검색] 족궐음간경(LR) > LR9 음포 (陰包) [1] 경혈명: LR9 음포 (陰包) / Yinbao 陰(阴)包(包)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 LR(LiveR meridian) 별명 : 음모 효능 : 음포는 족궐음 간경이 양 넓적달리 안쪽에서 깊이 행한다 하였으며, 기의 운행을 다스리고 혈을 통하게 하여 하초를 소통시키고 조절하는 효능 근육/신경 : 봉곡근, 반막양근, 박근 / 복재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대퇴(大腿) 안쪽을 음(陰)이라고 하며, 포(包)는 포장(包藏)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 혈은 비(脾)와 신(腎)의 두 경맥 사이에 있고 둥글게 포장(包藏)한 모습과 같으며 포(包)는 포(胞)와 뜻이 통해 자궁(子宮)을 가리키는데 이 경맥의 기(氣)가 자궁을 지나므로 음포(陰包)라고 이름하였다. 이 穴은 足厥..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5. [경혈검색] 족궐음간경(LR) > LR8 곡천 (曲泉) [1] 경혈명: LR8 곡천 (曲泉) / Ququan 曲泉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 LR(LiveR meridian) 효능 : 아랫배가 아프거나 정액이 새어나가거나 무릎 안쪽이 아픈 것 등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특정혈 역할 : 합수혈 근육/신경 : 봉공근, 반막양근, 박근 / 복재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곡(曲)은 굴곡(屈曲), 천(泉)은 함요(陷凹)를 가리킨다. 무릎을 구부리면 웅덩이처럼 함요되므로 곡천(曲泉)이라 이름하였다. 이 穴은 무릎 안쪽의 膝蓋骨 아래로 大筋上 小筋下의 凹陷處이다. 무릎 안쪽의 膝窩橫紋의 끝으로 무릎을 구부려서(曲) 그 穴을 취한다. 이 穴은 合穴이고 水穴인데, 물이 높이 있어 오는 根源이 있는 것을 샘(泉)이라 하여 曲泉이..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5. [경혈검색] 족궐음간경(LR) > LR7 슬관 (膝關) [1] 경혈명: LR7 슬관 (膝關) / Xiguan 膝關(关,関)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 LR(LiveR meridian) 효능 : 관절을 소통시켜 움직이게 하는 효능 근육/신경 : 비복근, 반막양근 / 복재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이 혈은 슬관절(膝關節)에 가까우므로 슬관(膝關)이라 이름하였다. 이 穴은 犢鼻穴 아래 2寸 되는 凹陷處로 양쪽 하퇴골이 서로 교류하는 關節인데 무릎병(膝病)을 치료하므로 膝關이라 이름 하였다. 3. 혈의 위치 3.1. 혈위1 종아리 정강뼈쪽면, 정강뼈 안쪽관절융기(medial condyle of the tibia) 아래쪽으로, 陰陵泉(SP9)에서 뒤쪽으로 1寸부위에 해당됨. On the tibial aspect of the le..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4. 이전 1 2 3 4 5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