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24 [경혈검색] 족소양담경(GB) > GB32 중독 (中瀆) [1] 경혈명: GB32 중독 (中瀆) / Zhongdu 中瀆(渎)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GB(Gall Bladder meridian) 효능 :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낙맥을 소통시키는 효능 근육/신경 : 대퇴이두근, 대내전근 / 좌골신경, 총비골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좁은 물길을 독(瀆)이라 한다. 이 혈은 위에는 풍시(風市)혈, 아래에는 족양관(足陽關)혈의 중앙에 있고, 맥기(脈氣)가 이 부위를 좁은 물길로 물이 흐르듯이 지나므로 중독(中瀆)이라 이름하였다. 經氣가 통과하는데 있어서 비교적 좁은곳의 수혈을 溝瀆(도랑)이라고 이름붙이는데, 이러한 곳이 足少陽에는 한개의 穴位가 있어서 髀骨(대퇴골) 바깥의 무릎뼈위 5寸되는 곳으로, 위쪽으로는 風市가 있고 ..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3. [경혈검색] 족소양담경(GB) > GB31 풍시 (風市) [1] 경혈명: GB31 풍시 (風市) / Fengshi 風(风)市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GB(Gall Bladder meridian) 별명 : 수수 효능 : 풍사를 몰아내고 습을 내보내며 근을 잘 뭄직이고 낙맥을 소통시키는 효능 근육/신경 : 대퇴이두근 / 대내전근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시(市)는 집합(集合), 집결(集結)한다는 뜻이 있다. 풍시(風市)는 풍기(風氣)가 집결하는 곳을 가리킨다. 이 혈은 풍사(風邪)에 의해 기혈(氣血)의 순행이 장애되어 일어난 하지마비(下肢痲痺)나 편마비(偏痲痺), 양다리의 동통을 치료하여 풍을 없애는 요혈(要穴)이므로 풍시(風市)라고 이름하였다. 이 穴은 下肢의 風氣가 모이는 장소로 中風偏枯를 치료하여 風을 제거하는 要穴이다..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3. [경혈검색] 족소양담경(GB) > GB30 환도 (環跳) [1] 경혈명: GB30 환도 (環跳) / Huantiao 環(环)跳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GB(Gall Bladder meridian) 별명 : 관골, 환도, 비추, 분중, 비압, 추중, 환곡 효능 : 담경과 방광경이 만나는 혈로서 허리와 다리를 잘 움직이게 하여 경락을 소통시키는 효능 근육/신경 : 대중소둔근 / 상중소둔피신경, 상둔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환(環)은 고리처럼 구부러진 것 도(跳)는 도약(跳躍)을 가리킨다. 무릎을 구부려 허리 부위를 고리처럼 구부릴 때 또는 도약할 때 발꿈치가 이 혈에 닿는다. 이 혈에 자침하면 하지마비(下肢痲痺) 환자도 도약할 수 있게 되므로 환도(環跳)라고 이름하였다. 環跳는 胯骨(hip bone) 넓적다리와 髀骨(f..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3. [경혈검색] 족소양담경(GB) > GB29 거료 (居髎) [1] 경혈명: GB29 거료 (居髎) / Juliao 居髎(髎)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GB(Gall Bladder meridian) 별명 : 거료, 고거료 효능 : 담경과 양교맥이 만나는 혈로서 열을 내리고 습을 내보내며 근육의 긴장을 풀고 관절을 잘 움직이게 하는 효능 근육/신경 : 장골근, 대퇴복근막장근 / 장골하복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거(居)는 책상다리할 거(倨)와 통하므로 굴곡(屈曲)이나 구부린다는 뜻이다. 료(髎)는 뼈의 함요(陷凹)부위이다. 무릎을 구부리면 이 혈 부위에 함요가 생기므로 거료(居 )라고 이름하였다. 居는 웅크리는(蹲) 것이다.髎는 窌와 같은데 窌는 빈 구멍(空穴)이다. 이 穴은 章門穴 아래 8寸 3分으로 허리뼈 위의 凹陷處로 ..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3. [경혈검색] 족소양담경(GB) > GB28 유도 (維道) [1] 경혈명: GB28 유도 (維道) / Weidao 維(维)道(道)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GB(Gall Bladder meridian) 별명 : 외추 효능 : 담경과 대맥이 만나는 곳으로서 양기를 덥혀주고 슴을 내보내며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낙맥을 소통시키는 효능 근육/신경 : 목막근, 내외복사근 / 장골하복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유(維)는 연접(連接), 도(道)는 통하는 길을 가리킨다. 이 혈은 담경과 대맥(帶脈)이 만나는 회혈(會穴)이고 대맥(帶脈)이 연접해 신체의 정면(正面)으로 통하는 길이 되므로 유도(維道)라고 이름하였다. 이 穴은 章門穴 아래 5寸 3分으로 足少陽과 帶脈의 會穴이다. 帶脈은 一身을 묶어(維)주고 陰陽脈의 길(道路)을 묶어(維..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3. [경혈검색] 족소양담경(GB) > GB27 오추 (五樞) [1] 경혈명: GB27 오추 (五樞) / Wushu 五樞(枢)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GB(Gall Bladder meridian) 효능 : 담경과 대맥이 만나는 곳으로 하초를 따뜻하게 보하는 기능 근육/신경 : 내외복사근, 복막근 / 장골하복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오(五)는 오장(五臟), 추(樞)는 주요(主要)하다는 것을 가리킨다. 이 혈은 관원(關元)혈의 옆에 있고 단전(丹田)의 옆에 오장(五臟)의 기(氣)가 모이는 주요한 부위이므로 오추(五樞)라고 이름하였다. 이 穴은 帶脈穴下 3寸이다. 五는 五方의 위치에서 中間에 위치하는 것인데 배 부분의 膽經五穴에서 위로는 京門 帶脈, 아래로는 維道 居髎가 있고 五樞가 그 中間에 있어 이 穴이 臟氣의 주축(樞要)..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3. [경혈검색] 족소양담경(GB) > GB26 대맥 (帶脈) [1] 경혈명: GB26 대맥 (帶脈) / Daimai 帶(带,帯)脈(脉)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GB(Gall Bladder meridian) 효능 : 하초를 따뜻하게 보하여 생리를 조절하고 대하를 그치게 하는 효능 근육/신경 : 내외복사근, 복횡근 / 늑간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요대(腰帶)부위에 있으므로 대맥(帶脈)이라 이름하였다. 이 穴은 季脇 아래 1寸 8分으로 足少陽과 帶脈의 會穴이다. 허리띠(帶)처럼 몸을 둘러 묶어주고 또 帶脈病과 婦人의 月經(經)과 帶下(帶)병을 치료하므로 帶脈이라 하였다. 腎의 아래에 兩帶(두개의 띠)가 있어 胞中으로 통하고 腎의 양방에 子宮帶(끈)가 있어 胞中으로 비스듬히 통하고 肝에 絡하여 있다. 男女의 속칭 小腸疝氣도 역..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2. [경혈검색] 족소양담경(GB) > GB25 경문 (京門) [1] 경혈명: GB25 경문 (京門) / Jingmen 京門(门)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GB(Gall Bladder meridian) 별명 : 기유, 기부, 신모 효능 : 신은 수를 주관하는데, 이혈도 물길이 잘 통하지 않는 것을 주로 치료하여 물길의 문호가된다. 신을 자양하여 양기를 튼튼하게 하며 하초를 잘 통하게 하는 효능 특정혈 역할 : 신경의 모혈 근육/신경 : 내외복사근 / 늑간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경(京)은 수도(首都), 문(門)은 기혈(氣血)이 왕래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 혈은 신(腎) 부위에 있고 신(腎)의 모혈(募穴)이며 아주 중요한 혈이므로 경문(京門)이라 이름하였다. 이 穴은 監骨(허리뼈)腰中에 있고 季脇은 본디 脊椎를 끼고 있으니 ..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2. [경혈검색] 족소양담경(GB) > GB24 일월 (日月) [1] 경혈명: GB24 일월 (日月)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GB(Gall Bladder meridian) 별명 : 신광, 담모 효능 : 담경과 비경이 만나는 혈로서 간과 담을 소통시키며 풍토를 조화롭게 하여 역기느라는 효능 특정혈 역할 : 담의 모혈 근육/신경 : 내외복사근 /늑간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앞가슴부위, 일곱째 갈비사이공간(the 7th intercostal space), 앞정중선(anterior median line)에서 가쪽으로 4寸. In the anterior thoracic region, in the seventh intercostal space, 4 B-cun lateral to the anterior median line. 3. 혈..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2. [경혈검색] 족소양담경(GB) > GB23 첩근 (輒筋) [1] 경혈명: GB23 첩근 (輒筋) / Zhejin 輒(辄)筋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GB(Gall Bladder meridian) 별명 : 신광, 담모, 천액, 액문, 천연, 연액 효능 : 담경과 방광경이 만나는 혈로서 가슴을 풀어주고 기의 순행을 다스리는 효능 근육/신경 : 내외늑간근, 대거근 / 능간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첩(輒)은 우마차(牛馬車)등의 바퀴 양쪽의 판(板)을 가리킨다. 이 혈은 옆구리에 있고 자침하면 근맥(筋脈)이 단단해지므로 첩근이라 이름하였다. 이 穴은 겨드랑이 아래 3寸에서 다시 앞으로 1寸 간 곳으로 옆구리쪽이니, 즉 淵腋穴에서 다시 앞으로 1寸 간 곳으로 옆구리쪽 갈비뼈 있는 곳에 붙어 있다. 수레 양쪽의 휘장을 輒이라 하며..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2. [경혈검색] 족소양담경(GB) > GB22 연액 (淵腋) [1] 경혈명: GB22 연액 (淵腋) / Yuanye 淵(渊)液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GB(Gall Bladder meridian) 별명 : 내외늑간근, 대거근 / 늑간신경 효능 : 가슴이 그득하거나 팔이 아파서 들 수가 없는 것ㅇㄹ 치료하는 효능 근육/신경 : 내외즉간근, 대거근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연(淵)은 함요부(陷凹部)를 가리키고 액(液)은 겨드랑이 액(腋)과 통한다. 연액(淵腋)은 원래 겨드랑이 액(腋)이고 이 혈은 겨드랑이 아래에 있으므로 연액(淵腋)이라 이름하였다. 淵은 깊다는 뜻이다. 그 穴이 깊고 겨드랑이의 아래쪽인데 足少陽의 脈氣가 發하는 곳이므로 淵腋이라 하였다. 3. 혈의 위치 3.1. 혈위1 가쪽가슴부위, 넷째 갈비사이공간(the 4..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2. [경혈검색] 족소양담경(GB) > GB21 견정 (肩井) [1] 경혈명: GB21 견정 (肩井) / Jianjing 肩井 1. 기본정보 소속경락 :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GB(Gall Bladder meridian) 별명 : 박정 효능 : 담경, 삼초경, 위경, 양유맥이 만나는 혈로서 경락을 소통시키며 가래를 흩어버리고 공유를 여는 효능 근육/신경 : 승모근, 극상근 / 쇄골신경 2. 혈명의 유래 2.1. 유래1 견(肩)은 어깨 부위 정(井)은 함요(陷凹)가 깊은 것을 가리킨다. 이 혈은 어깨 부위에 있고 그 아래 흉곽(胸廓)은 정(井)과 같이 비어있으므로 견정(肩井)이라 이름하였다. 오목하게 들어간 곳이 깊은 곳을 우물(井)이라 한다. 이 穴은 어깨(肩) 위쪽의 오목한 곳인데 缺盆의 위쪽, 大骨의 앞쪽이므로 肩井이라 하였다. 3. 혈의 위치 3.1. 혈.. 동양의학/경락경혈학 2023. 12. 2. 이전 1 2 3 4 5 6 7 8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