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2 한글의 사라진 순경음 발음법 원래 한글은 28글자로 창제되었다. 그런데, 일제시대때, 1912년 및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4개 글자를 정리하였다. 주시경 선생의 제자들이 주도했던 '조선어학회'는 그 당시 판단에는 별로 한국어 표현에 별로 사용성이 없다고 생각해서 삭제했지만, 이 4글자를 삭제함으로 해서, 9가지의 소리표현 방법이 사라지게 되었고, 그때문에 표현할 수 없는 소리가 생기게 되었다. 즉, 'P'과 'F' 발음을 구분해서 표현할 수 없게 되었고, 'B'와 'V' 발음을 구분해서 표현할 수 없게 되었고, 'L'과 'R' 발음을 구분해서 표현할 수 없게 되었다. 훈민정음에 있는 원래의 모든 표기법을 활용하면, 이런 발음들을 다 구분해서 표기할 수 있다. 중국어를 훈민정음의 표현방법을 바탕으로, 한국사람들에.. 생활/문화 2023. 11. 13. 훈민정음 창제의 원리 1. 초성제자(初聲制字)의 원리 훈민정음 해례(解例)의 자음의 조직 원리는 발음기관(發音器官)의 상형(象形)과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 입각하여 살피면, 자음을 오음(五音)으로 나누고 발음기관(發音器官)을 상형(象形)하여 기본자(基本字)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 다섯 기본자를 근간(根幹)으로 다시 가획(加劃)의 방법으로 같은 조음계통(調音系統)의 자음을 다음과 같이 체계화하였다. 이것은 각 기본자의 음별(音別)로 소리가 세어짐에 따라 획을 더해 가서 가획자를 만들은 것이다. 즉, ㄱ-ㅋ, ㄴ-ㄷ-ㅌ, ㅁ-ㅂ-ㅍ, ㅅ-ㅈ-ㅊ, ㅇ-ㅇ-ㅎ이 가획자 중에서 오직 아음 ㅇ만이 가획의 원리에서 벗어나는 오직 하나의 이체자(異體字)로서 각 음종의 3자가 체계화에서 조화를 벗어났으며 후음의 기본자 ㅇ과 구별하여 아음의.. 생활/문화 2023. 11.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