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론
오행의 개념
오행 | 특성 | 맛 | 성질 |
목 | 曲直(곡직) | 신맛 | 성장, 昇發작용 |
화 | 炎上(염상) | 쓴맛 | 온열, 상승작용 |
토 | 稼穡(가색) | 단맛 | 生化, 계승, 수납 |
금 | 從革(종혁) | 매운맛 | 청결, 숙강, 수렴 |
수 | 潤下(윤하) | 짠맛 | 자윤, 하향성 |
곡직(曲直) : 굽거나 곧게 된다
염상(炎上) : 사물을 태워서 높은 곳으로 올라가게 한다
가색(稼穡) : 가(稼)는 씨를 뿌리는 것이고, 색(穡)은 거두어 들이는 것. 농사(農事)를 뜻함.
종혁(從革) : 자유롭게 변한다
윤하(潤下) : 사물을 젖게 해서 낮은 데로 흐르게 한다
오행의 생극(상생,상극)와 승모(상승,상모)
구분 | 설명 | 예 |
상생(相生) |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 |
상극(相剋) | 목극토, 토극수, 수극화, 화극금, 금극목 | |
상승(相乘) | 내(목)가 지나치게 극하는 것 | 木乘土 |
자신(토)이 약해 상대(목)가 乘 | 土虛木乘 | |
상모(相侮) | 내가 너무 강해 상대를 反剋 함 | 木侮金 |
상대가 넘약해 나한테 극당함 | 金虛木侮 | |
승복(勝復) | 자(子)로 하여 나를 극하는 것을 극 |
보다 상세한 정보는 아래 링크 참조
음양과 오행 - 오케파파(OKePaPa)의 세상
동양의학에서 음양과 오행은 생명체와 우주의 근본적인 원리를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음양은 모든 것이 상호 보완적인 두 가지 요소, 즉 '음'과 '양'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개념입니다. 이
okepapa.com
'동양의학 > 음양오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맛과 간(肝)의 관계 (1) | 2023.10.27 |
---|---|
오주(五走)와 오재(五裁) (1) | 2023.10.27 |
오미(五味) (0) | 2023.10.27 |
음양론 (1) | 2023.10.27 |
음양오행 이란 (0) | 2023.10.27 |
댓글